개발/데이터베이스

EPAS EDB 설치 및 설정

플랜B 2024. 5. 15. 10:45

EDB란?

  • 오픈소스인 PostgreSQL 위에 상용버전으로 커스텀을 해서 배포한 솔루션 기반의 DB이다.
  • 함수나 프로시저등 Oracle과의 호환성이 좋다. (변환을 잘 해준다.)
  • 카카오뱅크에서 2023년 오라클에서 EDB로 데이터베이스를 교체했다고 한다.
   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20231219101900

작업 환경

  • Centos7 / root 환경 / Java 8

EDB 설치

1. yum repository 설정

  • 공식홈페이지에서 edb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진행
  • /repo_home/edb/ 하위에 압축 해제
  • repository 설정
  • vi /etc/yum.repos.d/local.repo
[edb-repo]
name=EDB Local Repository
baseurl=file:///repo_home/edb
enabled=1
gpgcheck=0

 

2. yum install edb-as14-server (설치)
3. /usr/edb/as14/bin/edb-as-14-setup initdb (실행)
4. 서비스 자동화 설정

$$ systemctl enable edb-as14.service (활성화)
$$ systemctl start edb-as14.service (시작)
$$ systemctl restart edb-as14.service (재시작)
$$ systemctl stop edb-as14.service (정지)
$$ systemctl status edb-as14.service (상태 확인)

 

5. 서비스 접속

$$ su - enterprisedb
$$ psql edb

 

6. 기타 수정 사항

  • 포트 변경: /var/lib/edb/as14/data/postgresql.conf 수정
Connection Settings -
listen_addresses = '*'
port = 15443 ## default 5444
  • /var/lib/edb/as14/data/pg_hba.conf 수정
host all all 127.0.0.1/32 md5 ## 로컬 접속
host all all 0.0.0.0/0 md5 ## 외부 접속
  • 외부 접속: 방화벽 추가
$$ 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15443/tcp
$$ firewall-cmd --reload
반응형